세무

법인세 원천납부세액명세서 작성하기

와찬 2022. 9. 9. 13:08

8월 31일에 법인세 중간예납일이다.

보통은 직전년도 1/2 해서 내는데...

작년에는 경기가 호황이라 회사가 돈을 많이 벌었는데

올해는 작년만큼 수익이 좋지 못합니다.

그런 상황에서 작년의 1/2만큼 내는것은 회사 입장에서도 손해

(쓸돈을 못쓰고 세금으로 내니깐 손해...물론 8개월있다가 환급을

받겠지만요...)

그래서 법인세 중간예납을 자체신고를 하려고 하고있습니다.

그중 제일 먼저 해도 상관없는것부터 차츰차츰 하려고하니

나중에 법인세 조정 첨하시는분들은 업로드 순서대로 일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법인세 원천납부세액명세서(갑) 지는

이자수익에서 낸 원천세를

이번 법인세에서 기납부세액으로 공제해주려고 하는 절차입니다.

서식에 필요한 자료는

적요, 내국인지 외국인지에서 발생했는지 ,

원천징수의무자의 사업자등록번호 및 상호

원천징수일, 이자수익금액, 세율, 원천징수금액(법인세) 정도 되겠습니다.

해서 우리는 회계 전표칠때부터

위 내용이 들어가게끔 전표를 치면 이업무할때 시간이 줄어듭니다.

 

이런식으로요. 관리항목에 넣어도 좋고, 적요에 넣어도 좋습니다.

그리고 법인세와 지방소득세는 구분시켜서 치는게 좋습니다. 나중에

일 두번 안하려면요.(법인세에도 신고하는게 있지만,

법인지방소득세 신고할때도 원천신고한내역 적는게 있습니다.)

 

그러면 이와같이 적기가 수월해지죠!.

이렇게 다 적으면 일단

원천납부세액명세서(갑)은 끝납니다.

(을)은 채권의 이자수익에 대한 부분인데, 이것도 위와 다르지 않습니다.

 

① 채권등의 명칭은 국채, 지방채, 회사채, 예금증서, 수익증권 어음 등

그밖의 증서의 명칭을 적고 ( )안에는 액면가를 적으면 됩니다.

② 유가증권표준코드란에는 한국증권선물거래소 및 증권예탁결제원에서 부여한 증권 등 관련 상품의 코드를 적습니다.

③ 「소득세법 시행규칙」 [별지 제23호서식(1)]의 채권이자구분을 적습니다.

찾기 귀찮으신분들 위해 제가 대신 찾아왔습니다.

 

④ 취득일란에는 채권 등의 취득일ㆍ유상이체일ㆍ발행일ㆍ매출일ㆍ직전이자지급약정일 등 보유기간계산의 기산일을 적습니다.

⑤매도일란에는 채권 등의 매도일ㆍ이자지급약정일ㆍ유상이체일ㆍ상환일ㆍ중도해지일 등 보유기간계산의 말일을 적습니다.

⑦이자율란은 약정된 이자계산기간 및 방식에 의한 이자율(전환사채의 경우에는 각 이자계산기간의 보장이율을 말합니다)에 발행시의 할인율을 가산하고, 할증률을 차감한 이자율을 적습니다. 다만, 전환사채를 주식으로 전환청구한 경우에도 이자 지급의 약정이 있는 경우에는 당해 약정 이자율을 적습니다.

나머지는 (갑)지와 동일합니다.

그리고 나서 이자수익과 법인세를 꼭 비교해보세요. 오타가 있을수도 있으니까요

= rounddown(int(이자수익*세율),-1) 해서 비교해서

차이나는것은 확인을 꼭 해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