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
진행기준 매출인식 하기
와찬
2022. 9. 12. 09:23
일반적인 제조업, 도소매업같은 경우에는 해당 내용이 익숙하지 않을 것입니다.
장기간 제작이 필요한 수주산업, 혹은 장기간동안 진행이 필요한 용역설계 등에서는 진행율에 따른 매출인식을 사용하고 있지요.
사실 제일 큰 기준은 어떤 방식으로 진행율을 인식할 것인가? 인데
제가 썻던 방법은
- 계약서에 명확하게 표시하는 겁니다.
공정이 A단계까지 오면 10%, B단계 20%, F단계 90% 등등 이렇게요
2. 이렇게 할 수 없는것은
작업진행율 = 실제투입원가 / 총투입예정원가
로 진행율을 인식했습니다.
해서 이와같이 진행율이 나오면 아래표와 같이 매출을 인식하면 됩니다.
구분
|
당해년도
|
직전년도
|
비고
|
계약금액
|
100
|
100
|
계약 금액
|
매출금액
|
30
|
20
|
계약금액 * 진행율
|
예정원가
|
80
|
80
|
|
투입원가
|
24
|
16
|
예정원가 * 진행율
|
진행율
|
50%
|
20%
|
|
공사이익
|
6
|
4
|
매출금액 - 투입원가
|
그런데 실무를 하다보면, 올해와 같이 원자재 등이 상승하여 계획보다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할 경우 아래와같이 손실충당비용을 잡습니다.
구분
|
당해년도
|
직전년도
|
비고
|
계약금액
|
100
|
100
|
계약 금액
|
매출금액
|
80
|
20
|
계약금액 * 진행율
|
예정원가
|
80
|
80
|
|
투입원가
|
64
|
16
|
예정원가 * 진행율
|
공사손실충당비용
|
5
|
|
|
진행율
|
100%
|
20%
|
|
공사이익
|
11
|
4
|
매출금액 - 투입원가-충당비용
|
이렇게 하는 이유는 수익비용대응의 원칙때문입니다.
매출을 잔금때 한번에 인식하게 될 경우 기간에따라
특정년도에는 수익이 100이 되고 그렇지 못한년도에는 비용만 80이 잡히기떄문에
이를 방지하고자 진행율을 적용 하고있습니다.
그리고 진행율을 잘 하기위해서는 시스템적으로
프로젝트별로 예산집행? 이런것을 관리해주는게 좋습니다.
그래야 진행율 계산이 수월할테니까요 ㅎㅎ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