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3

수주산업의 손실 프로젝트, 조기경보 확인법 #수주산업 #프로젝트 #조기경보 #손실 #체크 #노하우​수주산업의 경우 긴 계약기간과 대규모 자금투입이라는 특징 때문에 특히 신규프로젝트에 대해서는 손실이 늦게 발견되고는 합니다.그이유는 공정율과 실제 현금흐름이 따로 놀기도하고, 신규프로젝트일 경우 정확한 진행율을 뽑아내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예산도 안맞는 경우가 다수있고요. 그래서 이 부분을 조금이나마 해결할 수 있게글을 써보고자 합니다.​01. 데이터 수집 필요정보 : 계약금액, 예산금액, 누적실제원가, 누적청구액, 누적수금액 완성추정원가(보통 PM이 들고있습니다.) 02. 공식 정의 및 KPI 설정 가. 원가소진율 : 누적실제원가/예산원가 나. 공정율(투입법) : 누적실제원가/완성추정원가 다. 청구율 : 누적청구액/계약금액 라. 수.. 2025. 9. 12.
외국에서 배당 받았을때 '국외원천소득'은 어떻게 계산 될까? 오늘 신입사원이 3개년도 분량의 세무조정 책자를 들고 오더니,국가별 외국납부세액공제 명세서를 가리키며 질문했습니다.“팀장님, 실제로 배당받은 금액과 여기 나와 있는 국외원천소득 금액이 왜 다르죠?”국제조세…저도 약한 분야라 오랜만에 책 좀 넘기고 공부했습니다.팀장 노릇, 쉽지 않네요. 허허.공부한 김에 블로그에도 간단히 정리해 봅니다.원래는 3년차 이상을 타깃으로 쓰곤 했는데, 이번에는 신입사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써보겠습니다.우리 신입이 물어봤으니, 신입 맞춤으로!​용어 정리 먼저 하고 갑시다용어설명배당금해외 자회사로부터 실제 수령한 돈간주배당실제로 받지는 않았지만, 세법상 받은 것으로 간주하는 금액외국납부세액자회사가 해외에서 납부한 세금 (주로 법인세)국외원천소득위 세 가지를 모두 더한 금액으로.. 2025. 6. 13.
CKD 오늘 회사에서 신입직원이랑 이야기하다가 CKD 이야기가 나와서 이런게 어떤건지 어떤 상황에서 쓰이는건지, 이게 회계처리는 어떻게 되는건지 알려주고자 간단하게 이야기하고 블로그에 기재해봅니다. 네이버에 CKD라고 검색하니 의학용어만 나오지 업무 관련해선 나오지 않는게 의아했습니다 -ㅇ- ​ CKD는 단순히 제조방식이 아니라, 회계, 물류, 국제전략까지 얽혀있습니다. ​ 먼저 CKD를 정의하자만 완성품을 부품 단위로 수출해서 해외 현지 공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 자동차 부품을 인도에 보내고, 인도에서 조립해서 판매하는 방식이지요. 자동차나, 전자제품 글로벌 제조업에서는 흔하게 보이는 전략입니다. ​ 왜 그럼 CKD를 하느냐? 먼저 관세 절감입니다. 완제품보다 부품의 세율이 낮.. 2025. 6. 4.
신입사원도 알수있는 이전가격 한국에서 계산기를 만들어 팔고 있는 기업이 있습니다. 이 계산기는 너무 뛰어나서해외에서도 인기 만점입니다.그래서 제조단가를 낮추기위해 동남아에 공장을 만들어서 계산기를 팔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발생합니다.제조단가가 낮으니깐 동남아에서 만들어가지고 한국으로 수출을 하는데여기서 판매가격을 마음대로 정하면 문제가 발생합니다. 계산기 10,000개를 한국에 수출하면 30,000,000원인데한국에서는 이 계산기를 개당 5만원에 팔고 있는겁니다.한국에서 만들면 원가가 3.5만원이고요베트남에서 만들면 원가가 2만원입니다. 그럼 각국에서 이익을 보자고요베트남 판가 30,000베트남 원가 20,000베트남 이익 10,000 한국 판가 50,000베트남 입고가격 30,000한국 이익 .. 2025. 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