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일전 현금흐름표 개념을 살펴보았습니다.
이제 실무에서 어떤 방법으로 현금흐름표를 작성하는지 엑셀파일을 첨부하여
하나하나씩 보여드리겠습니다.
먼저 할일은 정산표검증 sheet에 재무상태를 기록하는 일입니다.

그렇게 하고나면,
오른쪽 sheet에 증감이 나타나고
검증의 수치를 0 으로 만들어 주면 됩니다.
검증의 수치를 0 을 만들기위해서는 오른쪽 다양한 활동들에 숫자를 기입해주면 됩니다.
하나씩 살펴 보겠습니다.
영업활동으로 인해 숫자가 바뀐것인지
투자활동인지, 재무활동인지, 대체거래인지(유동성대체, 채권제각, 등등)
를 확인하시고 각각 기재해 주면 됩니다.
대부분의 것은 영업활동, 비용가산, 수익차감 등으로 쉽게 확인이 될 것입니다.
다만 고정자산부분에서 이해 안될수 있는데


고정자산부분을 보시면, 영업활동으로는 실제 손익상 발생된 감가상각비, 처분이익
처분손실등을 기재하면 됩니다. 그리고 투자활동으로
실체 처분된 금액을 적습니다.
건물은 87백만원에 팔았으면 판금액을 적는단 말입니다.
그리고 나서는

대체거래에서 처분된 자산의 감가누계액을 서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감가누계엑에서 감소, 자산에서 증가식으로
그리고나서도 별 특이사항이 없습니다.
쭉쭉 작성하시다가, 차입금부분에서는
합계잔액시산표상 대차 총액(발생된 총액)을 각각 기재해주시면 됩니다.
그렇게 검증상의 숫자를 0으로 만드시면,
몇가지 검증이 이뤄질겁니다.

손익상 숫자와 정산표상 숫자가 일치하는지의 여부 차이금액이 발생하면
확인해보세요. 다만 외화환산이익,손실에서는 차이가 날 수도 있습니다.
그 원인은 외화예금의 외화환산손익입니다.


현금의 증감에 대한 대차검증 이런것들이 다 이상이 없으면
이제 진짜 현금흐름표를 만들러 가면 됩니다.
지금은 제가 각각 숫자를 넣으면, 변동이 되게끔 만들어 놨으나,
항목이 추가될 경우 추가하시어, 데이터를 추가하시면 됩니다.
아 참조로 (해당 엑셀의 미수금의 감소(증가)는 보통 일반적일떄는 투자활동으로 분류하시면 됩니다.
제가 했을때 2021년 미수금이 영업활동에 가까운 금액이라 옮겨놓은것입니다.)
여기서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현금입장에서 생각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자산이 늘어나면 현금입장에서는 들어올 돈이 나중에 들어오니깐 감소(-)
부채가 늘어나면 줄돈을 나중에 주니깐 증가(+)
그럼 아무쪼록 현금흐름표 잘 만드셔서 사랑받는 직원이 되세요.
현금흐름표 작성하는법 -ⓒ에서는 현금흐름표를 보고
어떤 정보를 얻을 수 있는가? 위주로 작성해보겠습니다.
다덜 좋은 하루 되십시오.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금흐름표 작성하는법 - ⓒ(활용법) (0) | 2022.09.20 |
---|---|
지분법 회계처리 (3) | 2022.09.16 |
현금흐름표 작성하기 ⓐ (0) | 2022.09.13 |
특허권 법인이 인수할때 발생하는 문제 (2) | 2022.09.12 |
진행기준 매출인식 하기 (1) | 2022.09.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