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고급회계를 복습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이해 안됬던 부분들도
시간이 지나니 조금씩 이해가 되는군요.
앞서 이야기 드렸지만, 연결회계는 크게 4가지 프로세스에 의해 움직입니다.
먼저 지배회사와 종속회사의 재무제표를 합친후에
1. 종속회사와의 자본상계 + 당기 전까지 비지배지분 해당액 인식(2년차부터 발생)
2. 장부가와 공정가치의 차이와 영업권의 손상검토
3. 내부거래 제거
4. 당기순이익으로 인한 순자산의 변동중 비지배지분 해당액 계산
간단하게 예제와 함께 이 4가지 프로세스를 설명하고자 합니다.
참고로 1년차에 쳤던 연결조정사항이 2년차에도 나오는 이유는
연결회계는 이월의 개념이 없기 떄문입니다.
1년차 연결조정하더라도 그런 부분들이 각각 지배회사와 종속회사의 개별재무제표에는 반영이 안되기때문에
2년차일때 또 1년차에 했던 사항들은 조정하는거지요.(그래서 과거의 이력들이 매우 중요합니다. 매년 연결조정사항들을
별도로 엑셀이나 기타문서로 보관해야해요!. 세무조정시 유보관리하는거랑 비슷하다고 보심될듯?)
먼저 문제 파일을 올려드릴께요. 시작하기에 앞서 사전에 꼭 알아야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먼저 엑셀을 받으신후에, 제시된 문제를 읽어보십시오.
연결회계 기초 : https://zevesu.tistory.com/38
연결회계 기초
요즘은 연결회계를 다시 공부하고 있습니다. 세무조정보다 더 힘든거같네요. 1~3개는 그래도 할 수있을거같은데.... 10개 넘어가면 대체 어떤 방식으로 연결을 할지 궁금해집니다. 연결회계는
zevesu.tistory.com
연결회계 내부거래 제거 이론 : https://zevesu.tistory.com/39
연결회계 내부거래 제거
연결회계 중에 내부거래 제거에 대해 글쓰려고 왔습니다. 몇일전에 연결회계 기초에 대해 알려드렸었는데, 그 기초를 보고 오신후에 내부거래 제거하는것을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내부거
zevesu.tistory.com
유효이자율에 대한 사채 및 AC금융자산 계산 : https://zevesu.tistory.com/40
유효이자율에 따른 계산방법
재무회계를 배우다보면, 사채, AC금융자산부터 살짝 막히시는 분들이 있을겁니다. 제가 대학생때 공부할때는 여기서 살짝 막히더군요. 그래서 쉽게 이해할 수 있게 글적으러 와봤습니다. 이론이
zevesu.tistory.com
문제의 유형은 2개입니다.
첫번쨰는 재고자산과 유형자산의 내부거래 제거
두번째는 금융자산의 내부거래 제거 (모두 1~4의 프로세스를 가집니다.)
첫번쨰 문제는
지배회사가 종속회사의 지분을 80% 인수하였고, 그 대가는 400,000원이며
취득당시 건물의 공정가치 차이는 20,000(내용연수 10년), 재고자산 공정가치 차이 10,000(X1년에 30% 판매
X2년에 70% 판매)
그리고 내부거래로
X1년에 지배회사는 종속회사에게 상품을 50,000원에 판매했으며 이중 80%는 X1년에 종속회사에서 외부로 판매가 실현
X2년에 나머지 20%가 실현되었고, 재고자산의 매출원가는 35000원
X1년에 종속회사는 지배회사에게 기계장치(취득가 100,000 / 감가누계 60,000, 잔존 5년)을
50,000에 매각하였으나, 지배회사는 사용하다가 X2년 6월 30일에 외부에 45,000에 판매하였음
X1년의 영업권 손상검토 결과 5000원 작고, X2년의 영업권의 손상검토 결과 3000원 많다. 입니다.
<아 여기서 쓰는 계정과목은 약식으로 사용했습니다.
ex > 감가상각비 = 기타비용 / 감가누계 => 건물(순액)으로 그냥 묻혀서 계산
엑셀 계산을 연결조정분개만 하면 자동으로 계산되게 만들어놔서 편의상 그렇게 해놨음을 양해바랍니다.
일단 차근차근 풀어보겠습니다.
1번 프로세스에 의한 지배회사와 종속회사의 자본상계!
ⓐ 종속기업투자는 금액이 나와있습니다. 400,000
ⓑ 종속회사의 자본은 X1년 말 종속회사의 자본을 보시면 나옵니다.
이중 이익잉여금에서 당기 발생한 당기순이익을 제거해주시면, 자본금 200,000/ 자본잉여금 130,000 /
이익잉여금 90,000이 나옵니다.
ⓒ 공정가치 차이부분을 인식합니다. 건물 20,000 // 재고자산 10,000
ⓓ ⓑ와 ⓒ를 합한금액에서 비지배지분율(100% - 80%)를 계산해주면 비지배지분 금액이 나옵니다. 90,000
ⓔ ⓐ+ⓓ - ⓑ - ⓒ를 하게되면 영업권 혹은 염가매수수익이 나옵니다. 이를 연결조정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2번 프로세스 공정가치 차이분 조정 및 영업권 조정
ⓐ 건물의 공정가치 차이분에 대한 감가상각 조정 : 20,000 * 10% = 2,000
ⓑ 재고자산 공정가치 차이부분에 대한 조정 : 10,000 * 30 % = 3,000 (X1년에 30%만 판매되었으니..)
ⓒ 영업권 손상검토
이과정을 거치는 이유는 최초 취득시점에 공정가치 차이부분에 대해 추가적으로 인식을 했는데, 실현된것이라
그부분만큼 제거해주는 절차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3번 내부거래 제거
ⓐ 회사에서 있던 매출과 매출원가를 상계 (하향거래 - 종속회사 당기순이익에는 영향이 없음)
(지배회사에서는 매출 50,000이 발생 매출원가는 35,000//종속회사는 매출 80%만 실행, 20%는 재고
뭐가됬던간에 매출원가 35,000원짜리를 판매하는것이라고 생각하세요.)
ⓑ 미실현이익의 계산 (50,000 - 35,000) * 20%(X1년에는 80%만 팔렸으니깐..)
ⓒ 유형자산 매각과 관련된 내용 상계 (상향거래 - 종속회사 당기순이익에 영향을 미침)
(실제 지배와 종속간에 이뤄진 내용은 없는거래입니다. 그래서 최초 기계장치(순액) 40,000원 맞추기
위한 수정분개를 하시면 됩니다)
ⓓ 내부거래된 유형자산의 감가상각비 제거
4. 비지배지분 계산
[종속회사 당기순이익 - 공정가치조정에 의한 당기손익 변동분 - 상향거래 관련(당기손익영향) 차변금액 + 상향거래 관련 (당기손익 영향)대변금액] * 비지배지분율
비지배지분 = (110,000-2,000-3,000-10,000+2,000) * 20% = 19,400
여기서 상향거래부분만 반영하는 이유는 상향거래(종속에서 지배로 판매한경우)에만 종속회사 당기순이익에
영향을 미치기 떄문입니다.
이렇게 하면 X1년차의 연결 조정은 끝나게 되며 숫자를 제대로 넣으셧다면
이렇게 연결 재무제표가 나오게 됩니다.
X2년도 똑같습니다.
1번 프로세스에 의한 종속기업 자본상계
그리고 전기에 인식한 비지배지분 금액을 인식해줍니다.(왜냐면 연결에는 이월이 없기떄문..)
공정가치 차이분 조정(단, 전기에 인식한 당기손익계정 들은 이익잉여금으로 조정합니다.)
그리고 나서 내부거래 제거 계산
ⓐ 전기 미실현된이익을 당기 실현으로 인식
ⓑ 전기 유형자산 관련된 내용을 (유형자산처분이익 - 전기감가비) : 8000 만큼 순액으로 이익잉여금 계산
그리고 당기 반기만큼 감가상각계산, 그리고 유형자산처분이익을 상계시켜 줍니다.
다시 비지배지분 계산입니다.
(123,000 - 2,000-7,000+1,000+,7000) * 20 % = 24,400
금융자산과 관련된 내부연결 설명은 다음시간에 마저 이어서 하겠습니다. 한번에 하려니 생각보다 시간이 오래걸리네요.
이번 예제 답변은 아래에 첨부해놨습니다.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결회계(지분의 변동) (1) | 2022.10.21 |
---|---|
연결회계(금융자산 제거) (2) | 2022.10.12 |
유효이자율에 따른 계산방법 (0) | 2022.09.28 |
연결회계 내부거래 제거 (2) | 2022.09.27 |
연결회계 기초 (0) | 2022.09.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