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계

감가상각비는 무엇인가?

by 와찬 2022. 9. 9.

감가상각이란 무엇일까요?

이거의 답변은 회계학을 배운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으로 나눌 수가

있을 것 같습니다.

회계학을 배우지 않은 사람은

그게 멍미? 하거나 대다수의 사람은

물건이 낡아가면서 가치가 감소하는 의미 아니냐 라고 대답을 할 것입니다.

이는 경제학 범위에서의 감가상각의 의미입니다.

회계학을 배운사람은

수익 비용 대응이라는 회계상 원칙을 위해, 경제적 효익이 발생하는 기간에

걸쳐 배분하는 과정이라고 이야기 할것입니다.

경제학에서 말하는 가치감소는 손상검토를 통해 합리적으로 계산하고

있습니다.

경제학과 회계학의 감가상각은 위에서 언급한것처럼, 그런 의미이고,

법인세법에서의 감가상각은 그냥 세금계산하기위한 과정입니다.

회계상 감가상각 금액이 법인세법상 감가상각 범위내에서 이뤄졌는지

그 과정을 하는것이기에, 회사에서 맘대로 감가상각처리해도

법인세에서 인정하는 범위안이라면 법인세법에서는 그 회계처리를 인정을합니다.

그래서 비상장회사에서는 이를 활용해서

초기에 비용(손금)을 많이 인식할 수 있는 정률법을 택하여

세금을 절세하려고 하지요.

자 이제 감가상각의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1. 정액법 - 내용연수에 걸쳐 매 기간 일정하게 감가상각비를 인식하는 방법

감가상각비 = (취득가액 - 잔존가치) ÷ 내용연수

2. 정률법 - 내용연수동안 감가상각비가 매 기간 감소하는 방법이며, 실무적으로 정액법과 마찬가지로 많이 쓰입니다.

감가상각비 = (취득가액-전기말감가상각누계액 ) * 상각률

상각률은 8년은 0.313/ 5년은 0.451을 쓰며, 그이외의 상각률은

저도 외우지 않아서...별첨해놓겠습니다.

 

[별표 4] 감가상각자산의상각률표[제15조제2항관련](법인세법 시행규칙).pdf
0.03MB

 

3. 생산량비례법 - 실제 생산량에 비례해서 감가상각을 인식하는방법

감가상각비 = (취득가액 - 잔존가치) * (실제생산량 ÷ 총 추정가능생산량)

인데, 생산량대신 작업시간으로 해도 됩니다.

예전에 모회사 다닐때 금형 감가상각을 이렇게 해볼까 고민한적이 있었는데.

5분만에 포기했습니다. 정말 귀찮거든요.

4. 연수합계법도 있긴한데..이건 진짜 10년넘게 일하면서 한번도

못본 감가상각법입니다. 왜냐하면, 법인세에서 이를 인정하지 않기에

연수합계법 하는순간 매년 세무조정해야하는 귀찮은 일이

벌어지기 떄문에...시도도 못해봤습니다.

해서 감가상각비의 선택방법에 따라, 회사의 숫자가 변하게 됩니다.

정액법은 매년 비용이 일정하게 발생되고

정률법은 초기에 비용이 많이 인식되고, 시간이 지날수록 적게 인식됩니다.

생산량비례법은 케바케라 생략하겠습니다.

관련용어 설명

감가상각비 - 이건 PASS

감가상각누계액 - 감가상각비는 매년 인식할 대상이지만, 이를 누계해서

재무상태표에 자산의 차감항목으로 보여주는

계정입니다.

내용연수 - 감가상각을 배분할 총 기간

취득원가 - 자산의 매입대가와 그 부대비용의 합

잔존가치 - 내용연수 동안 감가상각을 하고 남는 가치

반응형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금흐름표 작성하기 ⓐ  (0) 2022.09.13
특허권 법인이 인수할때 발생하는 문제  (0) 2022.09.12
진행기준 매출인식 하기  (1) 2022.09.12
회계상 장부 일마감하는법  (0) 2022.09.11
이연법인세 회계 처리법  (0) 2022.09.11

댓글